본문 바로가기

데이터 보호2

백업 주기, 얼마나 자주 해야 할까? 1. 백업 주기는 단순한 설정이 아니다백업에서 가장 자주 간과되는 부분 중 하나가 ‘주기 설정’이다.많은 조직이 백업은 반드시 해야 한다는 점은 인식하고 있지만,“얼마나 자주 백업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은 부족한 경우가 많다.하지만 백업 주기는 단순한 반복 설정이 아니라,복구 가능성과 복구 범위를 결정하는 핵심 전략 요소다.백업 주기를 잘못 설계하면, 중요한 시점의 데이터를 잃고도백업을 했다는 이유로 안심하다 복구에 실패할 수 있다. 2. 백업 주기를 결정하는 세 가지 기준1) 데이터 변화량변경 빈도가 높은 데이터일수록 백업 주기는 짧아야 한다.예를 들어, 로그 파일, 실시간 거래 정보, 설계 중인 문서 등은수시간 단위로 변경되며, 변경 전후의 차이가 큰 경우가 많다.하루 수십 건 이상 변동이 있는 데.. 2025. 4. 23.
파일 백업과 이미지 백업,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 1. 백업에도 방식이 있다백업이라는 말은 흔히 하나의 개념처럼 사용되지만,실무에서는 백업의 방식에 따라 복구 시나리오와 대응 속도, 저장 효율이 크게 달라진다.가장 많이 사용되는 백업 방식은 파일 백업과 이미지 백업이다.각 방식은 장점과 단점을 명확히 가지고 있으며,그 목적과 대상에 따라 적절한 전략을 선택해야 한다. 2. 파일 백업이란 무엇인가?파일 백업은 말 그대로 개별 파일 또는 폴더 단위로 데이터를 백업하는 방식이다.주로 워드 문서, 엑셀 파일, 로그 파일, 소스 코드, 설정 파일 등이 백업 대상이 된다.이 방식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백업 용량이 작고 빠르다필요한 파일만 선택적으로 복원 가능하다특정 디렉토리나 업무별 백업 구성이 유연하다하지만 단점도 존재한다.운영 체제나 프로그램 환경까지는 복구할.. 2025. 4.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