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데이터 복구4

백업은 왜 실패할까? 1. 성공한 백업이 실제로 복원이 될까?많은 IT 환경에서 백업은 정기적으로 수행된다.로그상 “성공” 메시지를 확인하고, 대시보드에서도 문제가 없다고 나오면우리는 그 백업이 ‘정상’이라고 믿는다.하지만 문제는 복구가 필요할 때 비로소 그 백업의 진짜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는 점이다.실제로 백업 파일이 존재함에도 복원이 불가능한 상황은 매우 자주 발생한다.이 글에서는 실무에서 자주 발생하는 백업 실패 원인을 짚어보고,복원 가능한 백업을 위해 우리가 무엇을 점검해야 하는지를 정리해본다. 2. 실무에서 자주 발생하는 백업 실패 원인1) 스케줄 미작동 또는 오류가장 기본적인 실패 원인은 예약된 스케줄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다.백업 스케줄러가 꺼져 있거나, 권한 문제로 실행되지 못하는 사례가 많다.→ 해결책: 주기적.. 2025. 4. 24.
복구 시간(RTO)과 복구 시점(RPO), 실무에서 어떻게 설계할까? 1. 백업 전략은 복구 목표에서 출발한다백업을 한다는 것은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해두는 것이 아니다.언제, 어떤 상태로, 얼마나 빨리 복원할 수 있는가를 정의하는 것이 핵심이다.이 기준이 명확하지 않으면,백업은 수집만 되고 복구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실무에서는 이 기준을 RTO(복구 시간 목표)와 RPO(복구 시점 목표)라는 수치로 표현한다.이 두 개념은 복원 전략 전체의 설계 기준이 되며,백업 주기, 저장소 구조, 자동화 전략까지 모두 여기에 맞춰 조정되어야 한다. 2. RTO와 RPO란 무엇인가?RTO (Recovery Time Objective)시스템 장애가 발생한 시점부터 복구까지 걸리는 최대 허용 시간→ "서비스가 언제까지 다시 정상 운영되어야 하는가?"예: RTO가 2시간이면.. 2025. 4. 24.
무엇을 백업해야 할까? 1. 백업은 얼마나, 무엇을 해야 하는가?많은 사람들은 ‘백업은 무조건 많이 해두면 안전하다’고 생각한다.하지만 실제로 백업을 설계하는 입장에서는 이 말이 반드시 맞지는 않다.무분별한 백업은 저장소 낭비, 백업 속도 저하, 복구 지연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효율적이고 목적 있는 백업은,“무엇을 백업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서 시작해야 한다.즉, 백업의 범위는 복원 가능성과 필요성에 따라 정해져야 한다. 2. 백업 대상 선정 기준 5가지다음은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백업 대상 판단 기준이다.단순히 중요해 보인다고 백업하는 것이 아니라,복구 시점과 실질적인 업무 영향도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a. 운영 필수 데이터인가? 해당 데이터가 없으면 시스템이 정상 동작하지 않거나, 업무 서비스가 중단되는가? .. 2025. 4. 23.
백업과 아카이브, 무엇이 다를까? 1. 왜 백업과 아카이브는 구분해야 할까?IT 실무를 하다 보면 '백업'과 '아카이브'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한다.두 단어 모두 데이터를 저장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그 목적과 보관 방식, 활용 시점은 전혀 다르다.실제 업무에서는 이 두 개념을 혼동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예를 들어, 오래된 데이터를 ‘백업’이라고 하면서 수년간 저장해두는 경우가 있다.하지만 이러한 사용은 백업의 원래 목적을 벗어난 것이며,복구와 관리 효율 측면에서도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따라서 실무에서 백업과 아카이브를 정확히 구분하고,각자의 목적에 맞게 설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2. 개념 정리 – 복구를 위한 백업, 보존을 위한 아카이브먼저 두 용어의 개념을 분명히 하자.백업(Backup)은 데이터 손실이나 시스템 장애에 대비해.. 2025. 4.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