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업 문서화3

복원 중심 백업 전략, 종합 정리 1. 이 시리즈의 시작점복구할 수 없는 백업은존재하지 않는 것과 같다.이 시리즈는 백업을 단순 저장이 아니라복구를 위한 전략적 구조로 바꿔내는 것을 목표로 시작되었다.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실제 복원 가능성을 중심으로 백업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다뤘다. 2. 복원 중심 백업 전략의 기본 전제백업은 저장이 아니라 복구를 위한 준비다복원할 수 없는 백업은 실패다복구 가능성은 문서화, 점검, 테스트, 훈련으로 완성된다자동화와 보안은 복구 확률을 높이는 필수 수단이다3. 각 파트별 핵심 요약1️⃣ 개념 정리 (1~5편)백업은 데이터 복원을 위한 전략이다백업과 아카이브의 차이를 이해해야 한다무엇을 백업해야 하는가를 정하고데이터 변화량, 중요도, 보관 정책에 따라 백업 주기를 설계한다2️⃣ 전략 설계 .. 2025. 4. 26.
백업에도 보안이 필요하다 1. 백업은 제2의 원본이다많은 사람들은 백업을 “안전한 복사본”이라고 생각한다.하지만 실제로는 백업이야말로 정보 유출에 가장 취약한 지점이다.원본보다 접근 제어가 약하거나,암호화 없이 보관되거나,공유 드라이브에 무방비로 저장되거나이런 상태의 백업은 기업의 전체 데이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는 출구가 된다.즉, 백업은 보관이 아니라 보호되어야 한다. 2. 백업 보안이 필요한 이유이유 1) 백업은 외부 유출의 주요 통로과거 실제 유출 사고 사례 중 상당수는운영 데이터가 아닌 백업 파일을 통한 대량 정보 유출이었다.이유는 간단하다. 백업은 모든 걸 담고 있기 때문이다.→ 한 번 유출되면 전체 고객 정보, 내부 전략, 기술 자료가 고스란히 노출된다.이유 2) 내부 권한 오남용백업 디렉터리에 대한 접근 권한이.. 2025. 4. 25.
복원 전략을 문서화하라 1. 전략은 있는데, 문서화가 없다면많은 조직이 백업 구조와 스케줄, 저장소까지 체계적으로 구성한다.하지만 막상 복구가 필요한 상황에서 ‘어떻게 복구해야 하는지’ 문서화되어 있지 않다면,그 전략은 실행되지 못한다.특정 담당자만 알고 있는 복원 방법,운영자의 기억에 의존한 순서,복잡한 구성에 대한 설명 부족.이런 상황에서는 백업이 아무리 잘 되어 있어도,복구 실패는 시간문제다. 2. 복원 절차 문서화의 목적문서화는 기술을 전파하는 도구가 아니다.그건 업무 연속성과 조직의 생존을 위한 매뉴얼이다.왜냐하면 장애는 담당자의 근무 시간만 골라서 오지 않기 때문이다.담당자가 부재 중일 때교대 근무 환경에서외주 팀과 협업할 때퇴사 이후 시스템을 물려받을 때이런 상황에서 복원 절차가 누구든 따라 할 수 있는 형태로 문.. 2025. 4.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