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업 정책3 백업 데이터 복사본은 왜 필요할까? 1. 단일 백업만으로 충분했던 시대는 끝났다과거에는 백업을 한 번만 해두면 충분하다고 생각했다.파일 서버에 저장하거나, 외장 하드디스크 하나에 백업을 해두면장애가 나더라도 데이터를 되살릴 수 있다고 믿었다.하지만 오늘날의 IT 환경은 훨씬 더 복잡하고 공격적이다.단일 백업 장치나 저장소에 의존하는 것은,재해, 랜섬웨어, 시스템 오류 앞에서는 아무런 대비가 되지 않는다.백업은 이제 ‘1개’가 아니라 ‘복사본’을 만들어 다수의 장소에 분산 저장하는 시대다.백업 복사본(Backup Copy)이 왜 필수인지 지금부터 구체적으로 알아보자.2. 단일 백업 시스템의 한계단일 백업은 다음과 같은 위험을 항상 내포한다.물리적 재해: 화재, 침수, 지진 등으로 백업 장치 자체가 파손될 수 있다.랜섬웨어 감염: 최근 공격은.. 2025. 4. 26. 백업은 왜 실패할까? 1. 성공한 백업이 실제로 복원이 될까?많은 IT 환경에서 백업은 정기적으로 수행된다.로그상 “성공” 메시지를 확인하고, 대시보드에서도 문제가 없다고 나오면우리는 그 백업이 ‘정상’이라고 믿는다.하지만 문제는 복구가 필요할 때 비로소 그 백업의 진짜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는 점이다.실제로 백업 파일이 존재함에도 복원이 불가능한 상황은 매우 자주 발생한다.이 글에서는 실무에서 자주 발생하는 백업 실패 원인을 짚어보고,복원 가능한 백업을 위해 우리가 무엇을 점검해야 하는지를 정리해본다. 2. 실무에서 자주 발생하는 백업 실패 원인1) 스케줄 미작동 또는 오류가장 기본적인 실패 원인은 예약된 스케줄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다.백업 스케줄러가 꺼져 있거나, 권한 문제로 실행되지 못하는 사례가 많다.→ 해결책: 주기적.. 2025. 4. 24. 무엇을 백업해야 할까? 1. 백업은 얼마나, 무엇을 해야 하는가?많은 사람들은 ‘백업은 무조건 많이 해두면 안전하다’고 생각한다.하지만 실제로 백업을 설계하는 입장에서는 이 말이 반드시 맞지는 않다.무분별한 백업은 저장소 낭비, 백업 속도 저하, 복구 지연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효율적이고 목적 있는 백업은,“무엇을 백업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서 시작해야 한다.즉, 백업의 범위는 복원 가능성과 필요성에 따라 정해져야 한다. 2. 백업 대상 선정 기준 5가지다음은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백업 대상 판단 기준이다.단순히 중요해 보인다고 백업하는 것이 아니라,복구 시점과 실질적인 업무 영향도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a. 운영 필수 데이터인가? 해당 데이터가 없으면 시스템이 정상 동작하지 않거나, 업무 서비스가 중단되는가? .. 2025. 4.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