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백업2 백업 운영 정책, 어디까지 정해야 할까? 1. 전략은 방향이고, 정책은 구조다지금까지 복원 중심의 백업 전략을 설계해왔다면이제는 그 전략이 조직 내에서 일관되게 적용될 수 있도록운영 정책으로 구체화하는 단계가 필요하다.복원 전략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를 보여주는 지도라면,운영 정책은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떤 방식으로” 책임지고 실행할지를 규정하는 설계도다.정책 없는 전략은 실행되지 않는다. 2. 정책 문서가 없는 조직의 현실많은 중소 IT 조직에서는 여전히 담당자 개인의 경험과 기억에 의존해 백업을 관리한다.이는 평상시에는 큰 문제가 없어 보일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치명적인 취약점이 된다.담당자 교체나 퇴사 시 인수인계가 불가능장애 발생 시 백업 파일이 어떤 주기로, 어디에 저장됐는지 파악 불가특정 서비스만 누락된 .. 2025. 4. 25. 백업 데이터를 어디에 저장할까? 1. 백업은 저장만이 아니라, 복구를 위한 준비다백업을 구축할 때 많은 사람들이 "어떻게 백업할 것인가"에만 집중한다.그러나 "어디에 백업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가"는 복구 가능성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문제다.백업 저장소의 위치와 구조는단순히 저장 공간이 아니라 복원 시간, 보안 수준, 재난 대응 능력을 결정짓는 인프라 요소다. 2. 대표적인 백업 저장소 유형 4가지1) 로컬 저장소 (내부 디스크, 서버 내 저장소)가장 빠르고 간단하게 백업할 수 있는 형태주로 동일 서버 내 또는 인접한 스토리지에 저장빠른 복원에는 유리하지만, 장애에 함께 노출될 위험 존재장점: 복원 속도 빠름, 구성 간단단점: 물리적 장애 발생 시 함께 손실될 가능성 큼 2) NAS (Network Attached Storage)네트워.. 2025. 4.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