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 데이터 관리2 백업 주기, 얼마나 자주 해야 할까? 1. 백업 주기는 단순한 설정이 아니다백업에서 가장 자주 간과되는 부분 중 하나가 ‘주기 설정’이다.많은 조직이 백업은 반드시 해야 한다는 점은 인식하고 있지만,“얼마나 자주 백업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은 부족한 경우가 많다.하지만 백업 주기는 단순한 반복 설정이 아니라,복구 가능성과 복구 범위를 결정하는 핵심 전략 요소다.백업 주기를 잘못 설계하면, 중요한 시점의 데이터를 잃고도백업을 했다는 이유로 안심하다 복구에 실패할 수 있다. 2. 백업 주기를 결정하는 세 가지 기준1) 데이터 변화량변경 빈도가 높은 데이터일수록 백업 주기는 짧아야 한다.예를 들어, 로그 파일, 실시간 거래 정보, 설계 중인 문서 등은수시간 단위로 변경되며, 변경 전후의 차이가 큰 경우가 많다.하루 수십 건 이상 변동이 있는 데.. 2025. 4. 23. 백업과 아카이브, 무엇이 다를까? 1. 왜 백업과 아카이브는 구분해야 할까?IT 실무를 하다 보면 '백업'과 '아카이브'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한다.두 단어 모두 데이터를 저장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그 목적과 보관 방식, 활용 시점은 전혀 다르다.실제 업무에서는 이 두 개념을 혼동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예를 들어, 오래된 데이터를 ‘백업’이라고 하면서 수년간 저장해두는 경우가 있다.하지만 이러한 사용은 백업의 원래 목적을 벗어난 것이며,복구와 관리 효율 측면에서도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따라서 실무에서 백업과 아카이브를 정확히 구분하고,각자의 목적에 맞게 설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2. 개념 정리 – 복구를 위한 백업, 보존을 위한 아카이브먼저 두 용어의 개념을 분명히 하자.백업(Backup)은 데이터 손실이나 시스템 장애에 대비해.. 2025. 4.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