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 연속성6 복원 전략을 문서화하라 1. 전략은 있는데, 문서화가 없다면많은 조직이 백업 구조와 스케줄, 저장소까지 체계적으로 구성한다.하지만 막상 복구가 필요한 상황에서 ‘어떻게 복구해야 하는지’ 문서화되어 있지 않다면,그 전략은 실행되지 못한다.특정 담당자만 알고 있는 복원 방법,운영자의 기억에 의존한 순서,복잡한 구성에 대한 설명 부족.이런 상황에서는 백업이 아무리 잘 되어 있어도,복구 실패는 시간문제다. 2. 복원 절차 문서화의 목적문서화는 기술을 전파하는 도구가 아니다.그건 업무 연속성과 조직의 생존을 위한 매뉴얼이다.왜냐하면 장애는 담당자의 근무 시간만 골라서 오지 않기 때문이다.담당자가 부재 중일 때교대 근무 환경에서외주 팀과 협업할 때퇴사 이후 시스템을 물려받을 때이런 상황에서 복원 절차가 누구든 따라 할 수 있는 형태로 문.. 2025. 4. 24. 복구 테스트는 왜 필요한가? 1. 백업이 있다고 해서 안심할 수 있을까?많은 조직과 실무자들이 정기적으로 백업을 수행한다.스케줄에 따라 자동 백업이 완료되고, 성공 로그가 뜨면 안심한다.하지만 막상 데이터 손실이나 시스템 장애가 발생했을 때,복원 테스트를 해보지 않은 백업은 의외로 아무 쓸모가 없을 수 있다.백업의 목적은 복원이다.그런데도 많은 환경에서 복원은 ‘필요할 때만 하는 일’로 간주된다.이것이 가장 위험한 백업 전략의 허점이다. 2. 복구 테스트는 백업의 필수 구성 요소다복구 테스트는 단순히 “복원 버튼을 눌러보는 것”이 아니다.정확한 시점의 데이터를 원하는 형태로 되살릴 수 있는지를실제로 검증하는 과정이다.테스트를 통해 다음을 확인할 수 있다.백업 데이터가 실제 복원 가능한 상태인지OS,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설정까지 복.. 2025. 4. 24.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