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원 중심의 백업 전략

백업 데이터 복사본은 왜 필요할까?

by 타렉 2025. 4. 26.

1. 단일 백업만으로 충분했던 시대는 끝났다

과거에는 백업을 한 번만 해두면 충분하다고 생각했다.
파일 서버에 저장하거나, 외장 하드디스크 하나에 백업을 해두면
장애가 나더라도 데이터를 되살릴 수 있다고 믿었다.

하지만 오늘날의 IT 환경은 훨씬 더 복잡하고 공격적이다.
단일 백업 장치나 저장소에 의존하는 것은,
재해, 랜섬웨어, 시스템 오류 앞에서는 아무런 대비가 되지 않는다.

백업은 이제 ‘1개’가 아니라 ‘복사본’을 만들어 다수의 장소에 분산 저장하는 시대다.
백업 복사본(Backup Copy)이 왜 필수인지 지금부터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2. 단일 백업 시스템의 한계

단일 백업은 다음과 같은 위험을 항상 내포한다.

  • 물리적 재해: 화재, 침수, 지진 등으로 백업 장치 자체가 파손될 수 있다.
  • 랜섬웨어 감염: 최근 공격은 백업 디스크까지 암호화하는 수준까지 진화했다.
  • 오류 및 손상: 백업 파일이 정상적으로 작성되지 않았지만 이를 인지하지 못한 채 방치.
  • 권한 오남용: 한 명의 관리자가 백업과 운영을 모두 책임질 경우, 의도치 않은 삭제나 유출 위험 존재.

결국 하나의 백업만 보유하는 것은
위험을 하나의 바구니에 모두 담는 것과 같다.

 

3. 복사본을 어디에, 어떻게 보관할 것인가?

복사본(Secondary Copy) 전략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1) 온사이트(Onsite) 복사본

  • 같은 물리적 위치 내 다른 장치에 복사본을 보관
  • 복구 속도가 빠르지만, 동일 재해에 모두 노출되는 단점 존재

예)

  • 별도의 NAS 장비에 주기적 rsync 복사
  • 서버 내 2차 디스크 영역 구성

2) 오프사이트(Offsite) 복사본

  • 다른 장소, 다른 네트워크 상에 복사본을 보관
  • 재해 복구(Disaster Recovery, DR)에 효과적
  • 클라우드 스토리지(S3, Azure Blob) 또는 다른 지사, IDC 활용

예)

  • 본사 백업본을 지사 서버로 매일 복제
  • S3 버킷에 암호화된 주간 백업 저장

멀티사이트 구성은 이 오프사이트 전략이 핵심이다.

 

4. 멀티사이트 백업 설계 핵심 포인트

멀티사이트 백업은 단순히 복사만 하는 것이 아니라,
아래와 같은 포인트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

항목 설명
데이터 암호화 복제되는 데이터는 전송 및 저장 시 모두 암호화
전송 무결성 검증 데이터가 손상되지 않았는지 해시 확인 필요
복구 경로 다양화 복구 가능한 지점(본사, 지사, 클라우드)을 2곳 이상 확보
정책 기반 복사 백업-복사 주기, 보관 기간, 삭제 정책 명확화
비용 최적화 클라우드 전송 요금, 스토리지 비용 고려 필요

5. 복사본 관리 실무 체크리스트

복사본이 있다고 안심할 수는 없다.
다음과 같은 항목을 주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 복사본 백업 스케줄 정상 작동 여부
  • 복사본 무결성 검증(Checksum, Hash값 비교)
  • 복사본 복구 테스트 (정기적 복구 리허설)
  • 복사본 접근 권한 점검 및 제한
  • 복사본 저장 위치(Region, Availability Zone) 재확인

복사본의 존재만큼 중요한 것은 복사본의 ‘품질’이다.

 

결론

백업 데이터 복사본은 보험이다.
메인 백업이 무너졌을 때,
운영 환경이 파괴되었을 때,
우리가 다시 일어설 수 있게 해주는 마지막 보루다.

“백업이 있다”는 말보다,
“복사본도 있다”는 말이
더 강력한 복구 가능성을 의미한다.

오늘 당신의 백업 전략에는,
진짜 복사본이 준비되어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