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1 복원 중심 백업 전략, 종합 정리 1. 이 시리즈의 시작점복구할 수 없는 백업은존재하지 않는 것과 같다.이 시리즈는 백업을 단순 저장이 아니라복구를 위한 전략적 구조로 바꿔내는 것을 목표로 시작되었다.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실제 복원 가능성을 중심으로 백업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다뤘다. 2. 복원 중심 백업 전략의 기본 전제백업은 저장이 아니라 복구를 위한 준비다복원할 수 없는 백업은 실패다복구 가능성은 문서화, 점검, 테스트, 훈련으로 완성된다자동화와 보안은 복구 확률을 높이는 필수 수단이다3. 각 파트별 핵심 요약1️⃣ 개념 정리 (1~5편)백업은 데이터 복원을 위한 전략이다백업과 아카이브의 차이를 이해해야 한다무엇을 백업해야 하는가를 정하고데이터 변화량, 중요도, 보관 정책에 따라 백업 주기를 설계한다2️⃣ 전략 설계 .. 2025. 4. 26. 복구 전략 최종 점검표, 지금 이대로 괜찮을까? 1. 왜 최종 점검표가 필요한가복구 전략을 설계하고 문서화하고 테스트까지 했더라도,그 모든 과정을 한눈에 점검하고 실제 복구 가능성을 검증하지 않으면전략은 여전히 '이론'에 머물게 된다.실제 복구가 필요한 순간에는누락된 백업손상된 복사본권한 부족복구 순서 혼동같은 문제들이 단숨에 드러난다.이걸 막기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최종 점검표(Final Recovery Checklist)다.점검은 반복될수록 복구 성공률을 높인다.2. 복원 전략 구성요소 요약점검표를 만들기 전,우리가 구축해온 복원 전략의 핵심 요소를 요약해보자.백업 데이터 존재 여부복구 테스트 이력복원 절차 문서화복사본(Offsite Copy) 확보보안 정책 적용복구 자동화 준비담당자/책임자 지정점검 주기 및 리포트 체계이 요소들이 모두 정상 작동.. 2025. 4. 26. 백업 데이터 복사본은 왜 필요할까? 1. 단일 백업만으로 충분했던 시대는 끝났다과거에는 백업을 한 번만 해두면 충분하다고 생각했다.파일 서버에 저장하거나, 외장 하드디스크 하나에 백업을 해두면장애가 나더라도 데이터를 되살릴 수 있다고 믿었다.하지만 오늘날의 IT 환경은 훨씬 더 복잡하고 공격적이다.단일 백업 장치나 저장소에 의존하는 것은,재해, 랜섬웨어, 시스템 오류 앞에서는 아무런 대비가 되지 않는다.백업은 이제 ‘1개’가 아니라 ‘복사본’을 만들어 다수의 장소에 분산 저장하는 시대다.백업 복사본(Backup Copy)이 왜 필수인지 지금부터 구체적으로 알아보자.2. 단일 백업 시스템의 한계단일 백업은 다음과 같은 위험을 항상 내포한다.물리적 재해: 화재, 침수, 지진 등으로 백업 장치 자체가 파손될 수 있다.랜섬웨어 감염: 최근 공격은.. 2025. 4. 26. 복구 훈련, 실무에서 꼭 필요한 이유 1. 복구 테스트와 복구 훈련은 다르다많은 조직이 정기적인 백업 테스트는 진행한다.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테스트는 대부분 “복원 버튼을 눌러보고 백업이 잘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에 그친다.이는 단순한 기능 검증에 가깝다.반면 복구 훈련은 실제 장애 상황을 가정하고, 사람이 복구를 직접 실행해보는 과정이다.이때의 목표는 기술적 성공이 아니라, 시간 내에, 정확한 절차로, 실제 서비스를 복원하는 실전 역량을 확보하는 것이다.2. 실무자가 복구 훈련을 해야 하는 이유이유 1) 문서화된 복원 절차만으로는 부족하다복원 문서가 있어도, 그걸 한 번도 따라 해보지 않았다면 실제 장애 시 실행할 수 없다.특히 복구는 긴박한 시간 안에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문서만 믿고 있다가 실제로는 복원 순서가 헷갈리거나, 실수가 발생.. 2025. 4. 25.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