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

백업 운영 정책, 어디까지 정해야 할까? 1. 전략은 방향이고, 정책은 구조다지금까지 복원 중심의 백업 전략을 설계해왔다면이제는 그 전략이 조직 내에서 일관되게 적용될 수 있도록운영 정책으로 구체화하는 단계가 필요하다.복원 전략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를 보여주는 지도라면,운영 정책은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떤 방식으로” 책임지고 실행할지를 규정하는 설계도다.정책 없는 전략은 실행되지 않는다. 2. 정책 문서가 없는 조직의 현실많은 중소 IT 조직에서는 여전히 담당자 개인의 경험과 기억에 의존해 백업을 관리한다.이는 평상시에는 큰 문제가 없어 보일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치명적인 취약점이 된다.담당자 교체나 퇴사 시 인수인계가 불가능장애 발생 시 백업 파일이 어떤 주기로, 어디에 저장됐는지 파악 불가특정 서비스만 누락된 .. 2025. 4. 25.
백업에도 보안이 필요하다 1. 백업은 제2의 원본이다많은 사람들은 백업을 “안전한 복사본”이라고 생각한다.하지만 실제로는 백업이야말로 정보 유출에 가장 취약한 지점이다.원본보다 접근 제어가 약하거나,암호화 없이 보관되거나,공유 드라이브에 무방비로 저장되거나이런 상태의 백업은 기업의 전체 데이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는 출구가 된다.즉, 백업은 보관이 아니라 보호되어야 한다. 2. 백업 보안이 필요한 이유이유 1) 백업은 외부 유출의 주요 통로과거 실제 유출 사고 사례 중 상당수는운영 데이터가 아닌 백업 파일을 통한 대량 정보 유출이었다.이유는 간단하다. 백업은 모든 걸 담고 있기 때문이다.→ 한 번 유출되면 전체 고객 정보, 내부 전략, 기술 자료가 고스란히 노출된다.이유 2) 내부 권한 오남용백업 디렉터리에 대한 접근 권한이.. 2025. 4. 25.
데이터베이스 백업, 어떻게 복구할 것인가? ※주의 !!! 아래 작업은 실 운영서버에 바로 적용하는 것이 아닌 충분한 테스트 및 SQL에 대한 이해를 가진 후 작업을 권장드립니다.1. DB 복원은 백업보다 어렵다데이터베이스는 단순한 파일이 아니다.동시에 수많은 사용자가 접근하고, 실시간으로 변경되며,무결성과 트랜잭션 일관성을 유지해야 하는 동적 구조체다.따라서 DB 복원은 일반적인 파일 복원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백업 파일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복원이 가능한 것도 아니다.복구는 백업 방식, 트랜잭션 처리 상태, 의존성까지 고려해야 하는 정교한 작업이다. 2. 백업 방식에 따른 복원 전략DB 복원은 사용한 백업 방식에 따라 절차가 크게 달라진다.실무에서 주로 사용하는 MySQL, PostgreSQL을 기준으로 정리해보자.1) 논리적 백업 (Dump .. 2025. 4. 25.
Linux 서버 복구, 무엇부터 준비해야 할까? 1. 리눅스 서버는 텍스트 기반이라서 복구가 쉽다?많은 사람들이 리눅스 서버는 명령어 기반이라서 복구가 단순하다고 생각한다.하지만 실무에서 보면 그렇지 않다.CLI 기반이라는 점은 자유도가 높다는 뜻일 뿐, 복구 절차가 자동화돼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오히려 리눅스 환경은 백업 도구와 로그 분석, 설정 복원이 각자 따로 존재하기 때문에복구 시 반드시 절차를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이 글에서는 리눅스 서버 복원을 위한 핵심 전략과 시나리오를 실무 관점에서 정리한다. 2. 백업 방식에 따른 복원 전략의 차이리눅스 서버의 복원 전략은 사용한 백업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각 방식에 맞는 복구 루틴을 준비해두는 것이 핵심이다.1) 전체 이미지 백업 (dd, Clonezilla 등)dd 명령어 또는 디스크 복제 툴을.. 2025. 4. 25.